News

“위험하니 이용 삼가세요” 안양천 나는 자율비행 드론
[안양=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현재 호우주의보가 발효 중입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하천변 산책로 침수 위험이 있으니, 이용을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스스로 날아다니는 드론이 안양천에서 시민 안전을 지킨다. 경기 안양시가 자율비행 드론을 활용해 도입한 하천 보행자 대상 스마트 계도 방송 시스템이다.
21일 안양시에 따르면 시는 현재 호우 특보 등으로 하천 범람이 예상될 경우 차단선을 설치해 하천 보행로 출입을 막고 있으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자율드론을 활용한 선제적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
이에 안양시는 지난 8월 집중호우 시 드론 전문 인력이 현장에서 드론을 조종해 시민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드론 계도 방송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이후 관련 부서 간 협업을 통해 전문 인력의 조종 없이도 무인으로 드론이 출동·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안양천을 누비는 드론은 비행 중 장애물을 스스로 회피하고 인공지능(AI)을 통해 사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형 안내방송 스피커가 닿지 않는 구간에도 드론이 접근해 집중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게 됐다.
또 현장 영상은 실시간으로 안양시 재난안전상황실과 드론 통합상황실로 전송돼 사각지대 없이 안전사고 예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됐다.
안양시는 안양천과 학의천이 합류해 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쌍개울 구간을 중심으로 운영을 시작하며, 향후 대상 구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지난 9월 드론 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드론 통합상황실을 개소하며 드론배송 등 신규 드론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자율비행 드론시스템을 활용한 하천 안전 관리는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시민 중심의 스마트 행정 사례”라며 “앞으로도 신기술을 행정에 적극 접목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불법드론 적발, 5년간 1166건…과태료 15억7000만원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최근 5년간 무허가 드론 비행으로 인해 부과된 과태료가 1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손명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용인시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무허가 드론 비행이 적발돼 과태료를 부과한 건수는 1166건으로 집계됐다.
무허가 드론 적발은 지난 2020년 101건을 시작으로 2021년 129건, 2022년 174건 2023년 376건 2024년 386건으로 해마다 적발 건수가 증가하는 상황이다.
적발된 건수를 살펴보면 비행금지구역 위반이 669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항 주변 관제권(반경 5마일) 내에서 드론 비행하다 적발된 ‘관제권 위반’이 289건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비행금지구역이나 관제권 등 항공안전에 직결되는 민감 지역에서의 위반 사례가 전체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다.
김얼 기자 = 손명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14일 전북 전주시 전북특별자치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4년 국회 국토교통위 국정감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4.10.14. pmkeul@newsis.com
무허가 드론 비행으로 적발된 과태료 부과 금액은 ▲2020년 1억550만원 ▲2021년 1억2900만원 ▲2022년 1억8070만원 ▲2023년 5억6480만원 ▲2024년 5억9350만원으로 총 15억7350만원에 달했다.
일각에서는 매년 적발건수와 과태료부과 금액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행 과태료 중심의 제재 수단으로는 이같은 행위의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에 손명수 의원은 “드론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관련 기술 개발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도 “현재의 단속 시스템은 사후 적발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무허가 비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원본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930_0003350606

“소방드론 활성화·첨단장비 도입 밑거름될 것”
‘119’를 누르면 달려오는 일상 속 숨은 영웅들. 화재 진압과 재난·재해 발생 시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소방관은 그 역할에 따라 화재진압대원, 구조대원, 구급대원으로 나뉜다. 그들의 헌신과 희생, 활약상을 ‘소방인(人)’을 통해 재조명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2023년 5월 31일 충북 제천시 봉양읍 한 골짜기에서 등산객 한 명이 구조를 애타게 기다린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80대 고령에 보청기 미착용, 다리 골절, 위치 불명확이라는 조건 때문에 수색이 극도로 불리했지만, 소방 드론 투입 덕분에 사고 발생 6시간 만에 구조 대상자를 발견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2022년 9월 14일 충북 음성군의 한 요양시설에서 70대 입소자가 외출 후 귀가하지 않아 119에 실종 신고가 접수됐다. 다음날 100여명이 넘는 수색 인력을 편성해 총력 대응에 나선 결과 드론을 띄운지 불과 5분 만에 실종자를 찾았다.
박상인(42·사진) 충북 음성소방서 재난대응과 구조구급팀장(소방경)은 그간 드론 운용을 하면서 평생 잊지 못할 두 가지 에피소드를 이같이 소개했다.
먼저 2023년 충북소방본부 대응총괄과 긴급구조팀 소속 소방위로 근무중이었을 때에는 80대 등산객을 구조했다. 당시 구조 출동 지령을 받은 시각은 오전 6시 57분이었다. 기지국 기반의 대략적인 위치만 조회됐고 나무·수풀이 우거져 시야 확보가 어렵고 수색 장기화가 우려되자 제천소방서는 오전 10시 15분 충북소방본부 긴급구조지휘대에 드론 지원을 요청했다. 오전 11시 36분 본부 긴급구조지휘대가 수색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고출력 스피커와 열화상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즉시 이륙시켰고 드론 수색 1시간, 사고 발생 6시간 만인 오후 12시 30분께 7부 능선 골짜기에서 구조 대상자를 발견했다.
또 다른 수색 사례는 충북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 상황분석팀에서 근무 중일 때 발생했다. 2022년 추석 연휴 직후인 9월 14일 오후 4시 30분께 충북 음성군 금왕읍 소재 요양시설에서 70대 입소자가 외출 후 귀가하지 않아 오후 8시 50분쯤 119에 실종 신고가 접수된 것이다. 그러나 시야 확보의 한계로 이튿날 본격적인 2일차 수색이 시작됐고 9월 15일 오전 11시 10분 충북소방본부 긴급구조지휘대에 드론 지원 요청이 접수됐다. 드론은 오후 1시 33분 이륙했고 사람 어깨높이의 수풀을 천천히 탐색하던 중 화면에 사람 형체가 포착됐다. 드론 이륙 후 불과 5분 만의 발견이었다. 박 소방경은 두 사례를 통해 드론은 단순한 관측 장비를 넘어 현장 판단과 생존 가능성 확보에 기여하는 전술 자산이라는 점을 반복적으로 실감한 계기가 됐다고 한다. 어릴적 꿈이 비행기 조종사였던 그는 그간 드론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고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는 충북소방본부에서 소방 드론을 운용했다.
화재 현장과 수색 현장에서의 드론 활용 방식은 다르지만 모두 ‘인명 중심’이라는 소방의 핵심 목표에 부합하며 구조시간 단축은 물론 인력·장비·예산 등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응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박 소방경은 강조했다. 다만 드론 운용 인력의 체력적 부담이 존재하고 체계가 미흡한 만큼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박 소방경은 “드론으로 사람을 찾는 것은 이제 일상화가 됐다”면서 “앞으로는 드론을 활성화하고 무인 로봇 등 첨단장비를 소방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이용하는 데 밑거름이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원본 출처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85846642298480&mediaCodeNo=257

드론으로 산불 대응 · 공항 안전 챙긴다…고중량·AI 제품 개발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이 ‘산불 진화 특화 고중량 드론’과 ‘공항 조류 대응 AI(인공지능) 드론’ 상용화를 위한 개발 사업자를 선정했습니다.
이번 공모에는 산불 진화 고중량 드론 개발 14개, 공항 조류 대응 AI 드론 개발 8개 등 총 22개 컨소시엄(119개 기업)이 참여했고, 평가 결과 산불 진화 드론 개발에는 엔젤럭스 컨소시엄, 조류 대응 드론 개발에는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습니다.
두 컨소시엄은 오는 21일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엔젤럭스 컨소시엄은 2027년까지 3년간 총 115억원 규모로 산불 진화에 특화된 고중량 드론과 기체 운반 및 급수 특수 차량을 개발합니다.
개발되는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00㎏, 최대이륙중량 450㎏ 이상이며, 소화액 등을 탑재하고 최대 3시간 비행이 가능합니다.
해당 기체는 초기 화재 대응, 잔불 제거, 경계선 설정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 소방 임무 수행을 목표로 개발됩니다.
이와 함께 외국에서 운영 중인 유사 기체도 도입됩니다. 도입하는 드론은 최대 탑재중량 260kg, 최대이륙중량 650kg, 비행시간 2시간의 성능을 갖췄습니다.
엔에이치네트웍스 컨소시엄은 2026년까지 2년간 50억원 규모로 AI 기반 조류 탐지 및 대응 드론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공항 반경 4㎞ 이내에서 조류를 탐지하고, AI가 비행 패턴을 분석한 후 군집 드론을 통해 조류를 감지·추적·소산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실증은 드론 비행시험센터, 무안공항 등에서 진행되고, 공항 조류 대응 시스템과의 연동도 추진됩니다.
국토부는 소방청, 산림청 등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실무 태스크포스(TF) 체계를 운영하고, 기체 개발과 현장 실증을 함께 추진할 계획입니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다양한 산불 진화 대응 수단을 갖출 수 있고, 고중량 소방드론 상용화 개발에 성공한다면 공공 수요에 대한 국산 기체 보급이 활성화될 것”이라며 “공항주변 조류 충돌 사고를 예방해 항공기 안전도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드론 #산불 #공항 #조류 #무안공항 #안전
원본출처 : https://rentcar.jejupass.com/web/rentcar/lowestPrices/detail?resveBeginDe=2025-09-04&resveBeginTime=1600&resveEndDe=2025-09-06&resveEndTime=1400&insrncApplcCode=05®ion=jeju&entrpsSn=158&vhcleSn=106&vhctySeCode=jeju&driverYearLmtYn=N&driverYearLmt=30&driverLicenseYear=3&administrativeCode=5011000001

양주시, 국군양주병원서 혈액 드론 배송 시연회
(양주=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경기 양주시는 최근 국군양주병원에서 국군양주병원, 대한적십자사 동부혈액원, ㈜비씨디이엔씨와 함께 ‘의료 드론 배송’ 시연 행사를 열었다고 2일 밝혔다.
시연회에서 참여 기관은 혈액과 의약품의 신속한 공급을 위한 드론 활용 방안과 상용화 가능성을 논의했다.
행사에서는 응급 상황 발생 때 드론으로 혈액을 안정적으로 배송하는 모습이 시연됐다.
양주시 관계자는 “시연회는 전문성을 가진 민·관·군이 하나의 목표를 위해 힘을 합쳤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시연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실증사업을 추진해 시민의 생명을 지키고 첨단 산업을 선도하는 양주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원본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50902063500060?input=1195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