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美 내년 1천300조원 국방예산안…F-35 덜사고 미사일·드론 늘려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내년 회계연도(올해 10월~2026년 9월)에 F-35 스텔스 전투기 구매를 줄이는 대신 미사일과 드론을 더 확보하기로 했다.
미국 국방부는 26일(현지시간) 2026회계연도에 국방 예산 8천483억달러를 의회에 요청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과 군사 전문 매체 ‘브레이킹 디펜스’ 등이 보도했다.
현재 의회에서 논의 중인 감세 법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포함된 국방 예산 1천130억달러를 포함하면 2026년 국방부의 총 예산 요청액은 9천613억달러(약 1천300조원)에 달한다.
주요 무기 구매 항목을 보면 국방부는 F-35 전투기를 47대 구매하기로 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는 2025회계연도에 F-35 68대를 요청했고 실제로는 74대를 구매했다.
현재 하원에서 논의 중인 국방 지출법안은 F-35를 69대 구매하게 돼 있어 실제 구매량은 국방부와 의회 간 협의를 거쳐 결정될 전망이다.
해군은 버지니아급 원자력 추진 잠수함 2척을 포함해 총 19대의 함정을 구매하는 데 필요한 예산을 요청했다.
공군은 합동장거리공대지순항미사일(JASSM-ER)과 장거리대함미사일(LRASM) 등 광활한 태평양 지역에서 유용한 장거리 타격 능력에 계속 투자하고 있다.
소형 드론 예산은 늘었다.
이는 무인기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효과가 뛰어난 무기임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전역에 미사일 방어망을 구축하겠다면서 공약한 ‘골든 돔’ 예산 250억달러는 감세 법안에 반영됐다.
국방부는 또 군 급여를 3.8% 인상하는 데 필요한 예산을 요청했다.
노후화된 A-10 공격기 162대를 전부 퇴역하고, 해군 군무원을 7천286명 줄이는 등 비용 절감 조치도 포함됐다.
원본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7007500071?input=1195m

실종자 수색용 등 드론항로 제작 나선 제주도
제주도에서 실종자 수색을 위한 드론항로 제작사업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올 하반기에 실종자 수색 드론항로 제작, 유선 드론 활용 안전사고 실시간 모니터링 등 다양한 드론 관련 사업을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제작 사업은 도내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의 드론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색 항로를 제작하는 것이다.
유관기관에 배포해, 실제 실종사건 발생 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수색활동이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4시간 이상 체공할 수 있는 유선 드론을 활용해 안전사고와 교통상황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인파 밀집도와 행사 참여 인원수를 분석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 기술은 2024 제주워터밤, 성산조개바당축제, 2025 도민체전 등 다양한 행사에서 활용됐다.
또 ‘2025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과 연계해 부속섬 대상 드론 배송 서비스를 확대 운영하고, 8월부터는 드론배송센터에서 가상현실(VR) 기기를 통한 드론 탑승 가상체험 행사도 연다.
제주도는 국토교통부 지정 전국 최대 규모(1283㎢)의 드론 전용 규제특구인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을 신청했다.
이번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2027년 6월까지 운영된다.
앞서 제주는 2021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됐다.
원본링크 : https://www.etoday.co.kr/news/view/2489481

드론·AI까지…현대건설, 지하화 공사에 스마트 기술 총집결
현대건설이 디지털트윈과 로보틱스,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건설 기술을 대거 공개했다. 입체 지하도로 전 구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지털 관제부터 웨어러블 로봇, 자율주행 드론까지 현장 실증을 통해 첨단 건설 기술의 미래를 제시했다.
현대건설은 30일 경기도 남양주 국도47호선 이설(지하화) 공사 현장에서 ‘2025 스마트건설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발표했다. 시연회는 강용희 현대건설 토목사업본부장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과 산학연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현대건설은 이번 시연회에서 현장 맞춤형 스마트건설 통합관제 플랫폼을 비롯해 건설 로보틱스, 스마트 안전·품질 관리, 스마트 토공·터널 기술 등 총 25종의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홍보관 외부에는 다양한 로보틱스 기술도 실증됐다. 최대 40㎏의 자재를 운반하는 물류 드론, 자율 비행으로 현장 매핑을 자동화하는 무인 드론 스테이션이 공개됐다.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스타트업 모빈(Mobinn)과 공동 개발한 자율주행 배송 로봇도 시연됐다.
특히 155인치 디지털 사이니지와 65인치 터치스크린 테이블이 결합된 대형 대시보드는 6.4km에 달하는 입체 지하도로 전 구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현됐다.디지털트윈 기반의 이 시스템은 현장 상황을 3차원으로 시각화해 온·오프라인 협업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터널과 토공 현장에서는 AR(증강현실) 기반 스마트 측량, 시공 자동화, AI 안전관리, 디지털 검측까지 이어지는 전 공정 스마트 프로세스가 시연됐다.
특히 드론이 AI CCTV를 운반하고, 충돌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MG 굴삭기가 터파기를 진행한 뒤 레이저 스캐너로 정밀 검측을 완료하는 일련의 과정이 현장에서 직접 실연됐다.
터널 수직구 구간에서는 국내 최초로 TVWS(유휴 TV 주파수) 무선통신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이 도입됐다. 이 시스템은 출입·위치 관제, 가스 감지, 이동식 CCTV 기능을 통합해 지하 작업장의 안전성을 높였다.
이 외에도 크레인 유무선 카메라, AIoT(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기반 터널 붕괴 감지 센서, 협착 방지 시스템 등이 적용됐다.
강용희 현대건설 토목사업본부장은 “이번 시연회는 단순히 기술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장 중심의 실증을 통해 건설업계 전반에 스마트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 자리”라며 “스마트건설 관련 투자를 확대해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상취재: 김재원, 영상편집: 정지윤, CG: 배예지

중국 기업, 로켓처럼 이착륙하는 드론 공개…”쿼드콥터보다 빨라”
중국 국영 방산기업인 중국항공공업집단(AVIC) 자회사 청두항공기공업그룹(CAIG)이 로켓처럼 꼬리로 이착륙하는 신형 드론을 선보였습니다.
18일 중국 과기일보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CAIG가 개발한 ‘테일시터'(tail-sitter)형 드론이 최근 쓰촨성 산악지대에 열린 재난 구조 훈련에서 공개됐습니다.
이 무인기는 센서와 카메라 등을 탑재하고 산악 지역을 비행하며 정찰과 실시간 상황 인식 테스트를 거쳤습니다.
아울러 이번 훈련에서는 지능형 통제 시스템을 이용해 군집 비행에 필수적인 자율 목적지 설정과 자동 경로 계획, 자동 위험 회피 등의 기능을 시연했습니다.
명칭이 공개되지 않은 이 무인기는 로켓처럼 수직으로 이륙한 이후 비행기처럼 수평으로 비행하다가 착륙 때는 다시 수직으로 세워져 꼬리로 착륙합니다.
공개된 제원을 보면 날개 길이는 2.6m, 동체 길이는 1.8m입니다.
SCMP는 이 무인기는 쿼드콥터(회전날개가 4개 달린 드론)보다 훨씬 빠르며 고정익 드론과 속도가 비슷하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수직으로 이착륙하기 때문에 활주로나 발사대가 필요하지 않아 격오지나 험준한 지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CAIG는 신형 테일시터 드론은 유지보수가 쉽고 운영비용이 저렴하며 재난 구호 활동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드론은 미국 드론 업체 실드AI가 개발한 ‘V-BAT’와 비슷한 형태라고 SCMP는 밝혔습니다.
‘MQ-35’로 명명된 이 드론은 현재 미 해군 등이 정찰 임무 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도 제공됐습니다.
(사진=중국 과기일보 캡처, 연합뉴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185222&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